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라클 전체 테이블 목록 / 코멘트 / 컬럼 조회

by 같이 사는 세상 2023. 8. 9.

오라클 전체 테이블 목록 조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다양한 테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전체 테이블 목록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 접속

먼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야 합니다. 콘솔 환경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qlplus sys as sysdba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sysdba 계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성공적으로 접속하면 SQL*Plus 프롬프트가 나타납니다.

2. 전체 테이블 목록 조회

다음으로, 전체 테이블 목록을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보겠습니다.

SELECT table_name
FROM all_tables

위 SQL문은 all_tables라는 시스템 테이블에서 table_name 컬럼을 조회하는 것입니다. 이를 실행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모든 테이블의 이름이 출력됩니다.

3. 결과 확인

위 SQL문을 실행하면 전체 테이블 목록이 화면에 출력됩니다. 각 테이블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오라클 테이블 코멘트 조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에 대한 코멘트(comment)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 코멘트는 해당 테이블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 등을 기록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코멘트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테이블 코멘트 작성

우선,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 코멘트를 작성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SQL문을 사용하여 테이블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COMMENT ON TABLE 테이블명 IS '테이블 설명'

위 SQL문에서 '테이블명' 부분을 작성하고, '테이블 설명' 부분에 테이블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작성합니다.

2. 테이블 코멘트 조회

작성한 테이블 코멘트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SQL문을 사용합니다.

SELECT comments
FROM user_tab_comments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위 SQL문에서 '테이블명' 부분은 조회하고자 하는 테이블의 이름으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실행하면 해당 테이블의 코멘트 내용이 출력됩니다.

3. 결과 확인

위 SQL문을 실행하면 해당 테이블의 코멘트 내용이 화면에 출력됩니다.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오라클 테이블 컬럼 조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의 컬럼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 컬럼 조회를 통해 해당 테이블의 구조와 속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컬럼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테이블 컬럼 조회

다음과 같은 SQL문을 사용하여 테이블의 컬럼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SELECT column_name, data_type, data_length
FROM all_tab_columns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위 SQL문에서 '테이블명' 부분은 조회하고자 하는 테이블의 이름으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실행하면 해당 테이블의 컬럼 이름, 데이터 타입, 데이터 길이 등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2. 결과 확인

위 SQL문을 실행하면 해당 테이블의 컬럼 정보가 화면에 출력됩니다. 각 컬럼의 이름과 속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 테이블 목록, 테이블 코멘트, 테이블 컬럼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전체 테이블 목록을 조회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모든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고, 테이블 코멘트를 조회하면 테이블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테이블 컬럼을 조회하면 해당 테이블의 구조와 속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회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분석에 매우 유용하며, 실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댓글